주택청약 가점제 84점 만점 조건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저축 가입기간 정리 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포스팅 하나로 궁금증, 의문을 해결하실 수 있도록 연관된 자료나 홈페이지 등을 링크로 같이 배치하였습니다. 필요하실 경우 클릭하여 보시면 좋겠습니다.
정확하고 풍부한 자료를 직접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본격적으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집중해서 봐주시기 바랍니다.
Contents
시작하며
최근 주택 청약시장에서는 ‘가점제’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무주택 실수요자들에게 보다 공정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인데요.

특히 가점을 최대치로 끌어올려 ‘만점’ 또는 그에 준하는 점수를 확보하는 것이 당첨의 관건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분양시장에서는 가점 만점자들이 대거 당첨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죠. 그렇다면 과연 어떤 조건을 갖춰야 주택청약 가점제에서 84점 만점에 도전할 수 있을까요?
그럼 본격적으로 주택청약 가점제의 평가기준과 만점 획득 요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설명
주택청약 가점제는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입니다. 현재 수도권과 광역시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민영주택 청약 시 일정 비율을 가점제로 뽑고 있는데요.
보통 가점제와 추첨제를 병행하되, 수도권 내 공공택지나 투기·청약과열지구에서는 국민주택 기준 가점제 물량을 70%까지 상향 적용하고 있습니다. 가점제에서 평가하는 총점은 84점으로, 세부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배점됩니다.
평가항목 | 배점 |
---|---|
무주택기간 | 32점 |
부양가족수 | 35점 |
청약통장 가입기간 | 17점 |

그렇다면 각 영역에서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만점을 받을 수 있을까요?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 84점 만점 조건 1 : 무주택기간
가점제에서는 무주택으로 지낸 기간이 길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합니다. 이 항목에서 최고점인 32점을 받으려면 무주택기간이 15년 이상 되어야 합니다.
배점 구간을 살펴보면 무주택기간이 1년 미만이면 2점, 1년 이상~ 2년 미만이면 4점, 2년 이상~3년 미만이면 6점 식으로 1년당 2점씩 늘어나는 방식입니다.
한편, 무주택기간의 기산점은 만 30세가 되는 날로부터입니다. 단, 30세가 되기 전 혼인한 경우라면 그 혼인신고일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따라서 일찍 결혼해 무주택기간을 쌓는다면 이 항목에서 보다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겠죠.
주택청약 가점제 84점 만점 조건 2 : 부양가족수
가족 수가 많으면 그만큼 주거 공간도 넓어져야 하기에 부양가족수도 가점제의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작용합니다. 부양가족수로 따질 수 있는 최고점은 35점인데요. 이를 위해선 무려 6명 이상을 부양해야 합니다.
참고로 배우자는 기본적으로 부양가족에 포함되며, 직계존속(부모님)의 경우 3년 이상 같은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되어 있어야만 인정됩니다. 자녀는 미혼이어야 하고요. 따라서 부양가족수 만점을 노리려면 본인과 배우자를 제외하고 5명의 직계가족이 더 필요한 셈입니다.
부양가족수 | 배점 |
---|---|
6명 이상 | 35점 |
5명 | 30점 |
4명 | 25점 |
3명 | 20점 |
2명 | 15점 |
1명 | 10점 |
0명 | 5점 |
주택청약 가점제 84점 만점 조건 3 : 청약통장 가입기간
마지막으로 청약통장 가입기간 항목에서도 오랜 기간 성실히 납부할수록 가산점이 붙습니다. 만점은 17점으로, 15년 이상 꾸준히 불입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배우자 명의의 청약통장도 일정 부분 인정되는데요. 배우자 통장 납입기간이 2년 이상이라면 최대 3점까지 추가 부여받습니다. 따라서 혼인한 부부가 본인 명의로 12년, 배우자 명의로 2년을 채웠다면 17점을 채울 수 있겠죠.
한편, 지난해 9월부터는 과거 미성년자 가입 기간을 5년까지 인정해주는 제도가 시행중입니다. 그러니 자녀 명의로 14세 때 청약통장을 개설했다면, 29세엔 이 항목에서 만점 획득도 가능한 셈이죠.
청약통장 가입기간 | 배점 |
---|---|
15년 이상 | 17점 |
14년 이상 ~ 15년 미만 | 16점 |
13년 이상 ~ 14년 미만 | 15점 |
12년 이상 ~ 13년 미만 | 14점 |
11년 이상 ~ 12년 미만 | 13점 |
10년 이상 ~ 11년 미만 | 12점 |
최근 가점제 커트라인
그렇다면 실제 청약 시장에서 가점제 당첨 커트라인은 어느 정도일까요? 최근 서울 지역의 주요 사례들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단지명 | 평형 | 가점 커트라인 |
---|---|---|
래미안 원베일리 | 전 평형 | 84점 |
메이플자이 | 59A | 76점 |
59B | 79점 | |
청계리버뷰자이 | 84 | 66점 |
59A | 59~74점 | |
힐스테이트 e편한세상 문정 | 59B | 73~79점 |
래미안 라그란데 | 84A | 69~74점 |
대부분의 서울 인기 단지에서 당첨 커트라인이 70점을 넘나드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물론 경기도나 인천 등 수도권 자치단체로 범위를 넓히면 20~70점 선에서도 당첨 가능성이 열리곤 하죠.
어쨌든 서울에서 분양 성공을 노린다면 장기간의 무주택기간 유지, 부양가족 확보, 청약통장 장기 납입 등을 통해 되도록 높은 점수를 확보해 두는 게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요약정리
구분 | 내용 |
---|---|
가점제 개요 | 무주택기간, 부양가족수, 청약통장 가입기간 등을 점수화 총점 84점 만점으로 평가 |
무주택기간 | 최대 32점 부여 (15년 이상 시) 만 30세 or 혼인신고일부터 기산 |
부양가족수 | 최대 35점 부여 (6명 이상 시)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포함, 미혼 자녀만 인정 |
청약통장 가입기간 | 최대 17점 부여 (15년 이상 시) 배우자 가입 기간 2년 이상 시 최대 3점 추가 인정 |
서울 커트라인 | 주요 인기 단지 기준 70~84점 내외 형성 |
결론
이상으로 주택청약 가점제의 평가 방식과 만점을 위한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요컨대 오랜 무주택기간, 많은 부양가족수, 장기간의 청약통장 가입이라는 ‘3박자’가 어우러져야 비로소 84점이라는 최고점에 도달할 수 있는 구조인 셈이죠.
각 영역별 기준이 매우 높게 설정된 만큼, 무작정 만점을 기대하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하지만 제도 취지에 맞게 오랜 기간 무주택 실수요자로서 기본기를 닦아 온 분들이라면 높은 점수 획득도 불가능한 건 아닐 것 같네요.
최근 분양시장의 높은 경쟁률을 감안하면 나홀로 청약보다는 가족들과 함께 점수를 쌓는 것도 현명한 전략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주택청약 가점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게 맞는 최적의 전략을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이 글이 실수요자 여러분의 내 집 마련에 작은 도움이 되었길 희망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월 1만 원대 무제한 요금제 나왔습니다!! 🔴
혹시라도 현재 비싼 알뜰폰 요금제를을 쓰시거나
저렴한 알뜰폰을 써보고 싶은신 분들은
아래 현재 최고의 가성비 알뜰폰 요금제(아래 클릭) 보고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