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 차이 정보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금리가 높아짐에따라 많은 분들이 예금과 적금으로 눈을 돌리고 계실텐데요.
이때 이자를 한푼이라도 더 받기 위해서 비과세 또는 세금우대에 대해서도 궁금해하실 겁니다.
사실 엄청난 금액 차이는 아니더라도 결국 예금과 적금에서 수익률을 올리는 방법은 세금밖에는 없다고 할 수 있죠.
아래 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 차이를 알아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그리고 이자를 한 푼이라도 더 받으셨으면 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일반과세
먼저 비과세종합저축과 세금우대를 알기 전에 이자에 대한 일반 과세부터 개념이 잡혀있어야 합니다.
일반과세는 그야말로 세금이 그대로 온전히 붙는 걸 말합니다. 다들 알고 계시다시피 이자소득에는 무조건 15.4%가 과세됩니다. 거의 모든 금융상품에 붙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100만원의 이자를 받게 되면 154,000원을 세금을 제하고 남은 846,000을 받게 되는 것이죠.
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 차이 정보
비과세저축과 세금우대는 이자소득에서 일반과세를 하지 않고 비과세 또는 세율을 낮춰서 적용을 받는 것을 말하는데요, 먼저 비과세종합저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비과세종합저축
비과세종합저축은 말 그대로 ‘비과세’입니다. 일반과세의 세율인 15.4%를 0%로 만들어버리는 아주 강력한 이자 혜택이죠.
그러나 이렇게 가능한 만큼 아무나 비과세종합저축에 가입할 수가 없습니다. 아래에 취약계층 들만 가입을 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전체 금융기관을 통틀어 5,000만원까지만 가입이 간으합니다.
비과세종합저축 대상
- 65세 이상 대한민국 거주자 대상
- 취약계층 생계안정 지원을 위해 장애인, 독립유공자,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등
세금우대
세금우대저축은 저율과세라고도 불리는데요, 일정한 조건을 갖추게 되면 일반과세 15.4%의 세율을 낮춰주는 제도입니다.
단, 현재는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해서 한시적으로 운영중이며 이게 계속해서 연장이 되고 있기는 한데 계속해서 혜택이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세금우대 대상 및 한도
세금우대는 대한민국 만 20세 이상 개인이면 누구나 다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전체 금융기관을 통틀어 3,000만원의 한도가 있으며, 현재는 제2금융권이라고 불리는 새마을금고, 신협, 농협, 수협 등에서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세금우대 한도는 아래와 같이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습니다.
- 2022년 : 1.4% 저율 과세
- 2023년 : 5.9% 저율 과세
- 2024년 : 9.5% 저율 과세
한도 주의사항
위에서 말씀드리는 한도는 전 금융기관을 합한 금액입니다. 예를 들어 A은행에서 5,000만원 한도로 비과세저축에 가입을 하면 B은행에서는 비과세저축에 가입을 할 수가 없습니다.
대신 A은행 2,000만원, B은행 1,000만원, C은행 2,000만원 이렇게 가입이 가능한 것이죠.
세금우대는 조합으로 가입해야 가능
또하나 말씀드릴 것이 지금 세금우대는 새마을금고 등의 제2금융권에서만 가입이 가능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이것도 해당 은행의 조합원으로 가입을 해야 세금우대를 받을 수가 있습니다. 가입은 출자금통장을 만들면 가능한데요, 출자금통장에 최소 몇 만원정도를 넣어두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참고로 이 출자금통장은 1,000만원까지 비과세가 가능하며(비과세, 세금우대와는 다른 개념) 출자금이기에 매년 배당금을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배당률은 각 지점마다 모두 다름)
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 차이 요약
- 일반과세 15.4%
- 비과세종합저축은 이자세율이 0% / 대상 정해져있음 / 한도 5,000만원
- 세금우대 이자세율 1.4%(2022년) / 대상X / 새마을금고 등만 가능 / 한도 3,000만원
결론
만약 비과세 혜택을 받으실 수 없다면 결국 세금우대만이 이자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단, 이 경우도 무조건 세금우대가 낫다고만은 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새마을금고 5% 적금 + 세금우대이지만 저축은행의 경우 6% 적금도 있으며 이 경우 저축은행의 일반과세가 실제 이자를 더 받기 때문입니다.
결국 제일 유리한 금융상품을 먼저 찾으시고, 그 다음 비과세와 세금우대를 고려하시는 것이 이자를 한 푼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현명한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비과세종합저축 세금우대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래는 아직도 전기요금 할인을 받지 못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도움이 되는 포스팅을 남겨봅니다.